전환사채(CB)의 기한이익상실(EOD)
- EOD(Events of Default) : 특정 상황에서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빌려준 대출금을 만기 전에 조기회수하는 것
- CB에는 리픽싱과 조기상환청구권, 매도청구권 외에도 EOD 조항이 있을 수 있음
- 회사의 이자 지급 연체, 파산, 법정관리 신청, 완전자본잠식, 관리종목 지정, 상장폐지 사유 발생, 타 채무에서 EOD 발생, 감사의견 비적정 판정, 신용등급 하락 등이 EOD 사유가 될 수 있음
- EOD 사유가 발생하면 CB에 부여된 매도청구권, 즉 발행회사가 투자자에게 CB를 되사올 권리는 효력이 상실될 수 있음
- EOD 사유가 발생하더라도 대출금 회수는 즉시 이뤄지지 않을 수 있음. 통상 회사가 채권자와 협의를 통해 부채 상환을 유예받거나 채무조건을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
- 협의 불발시 발행회사는 CB 조기상환을 위해 자금난에 직면할 수 있음. 이미 자금상황이 좋지 않아 CB를 발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환 요구에 응하지 못하다가 끝내 회생절차개시(법정관리)를 신청할 위험도 있음
- 과거 CB 발행 이력과 미전환 CB 잔액 규모는 회사의 자금 상황과 사업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
- 미전환 CB 잔액이 많을 경우 기업의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지고 기존 주주 입장에선 주식 희석 위험도 있음
(과거 발행한 CB를 차환하기 위해 신규 CB를 발행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구분해 볼 것)
금호전기 사례
아센디오 사례
'포켓 속 경제정보 > 증권톡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증권톡톡] EV/EBITDA 대신 EV/OCF를 써야 하는 이유 (0) | 2025.02.08 |
---|---|
[증권톡톡] IPO시 '공모가 산정 - 공모주 배정' 절차 (0) | 2025.02.07 |
[증권톡톡] 주식연계채권 3총사(전환사채·교환사채·신주인수권부사채) (0) | 2025.02.05 |
[증권톡톡] 전환사채(CB)의 조기상환청구권(풋옵션)과 매도청구권(콜옵션) (0) | 2025.02.04 |
[증권톡톡] 전환사채(CB) 전환가액조정(리픽싱) 톺아보기 (0) | 2025.02.03 |